해체계획서 작성 방법 2.사전조사




“해체계획서 작성방법 2.사전조사”

건축물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건축물관리법’에 따라서 건축물을 해체하기 전에 허가권자에게 해체 허가를 득하거나 해체 신고를 얻어야 합니다. 이때 필요한 필수 서류가 “건축물 해체계획서”입니다. 지난 글 “건축물 해체계획서 작성 방법 1. 일반사항”에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건축물 해체계획서 작성 방법 2. 사전조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건축물 해체계획서 작성방법 2.사전조사 (1)

 

 

주요 작성 내용 : 사전조사 단계에서는 ①주변조사 ②지하매설물 조사 ③지하건축물 조사 ④해체 대상 건축물 조사 ⑤유해물질 및 환경공해 조사 등을 작성합니다.

 

해체계획서 작성 방법 ; 주변조사, 지하매설물 조사

 

인접 건축물 조사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 (1)

이 단계에서는 인접 건축물의 현재 용도 및 높이, 구조 형식, 규모, 주용도 등을 살핍니다.
해체 작업으로 인해 예상되는 소음, 진동, 균열, 침하 등의 피해 영향 가능성을 검토합니다.
그리고 해체 작업으로 인해 피해가 예상될 경우 별도의 보강, 계측 관리 방안을 수립합니다.

 

주변도로, 공공이용시설 조사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1)

인접도로 폭, 출입구 및 보도 위치, 주변의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출입구, 횡단보도와의 이격 거리 등을 확인합니다.
현장 진출입 차량의 주 이동 동선을 파악하고 주변 도로의 피해 영향에 대해서 살핍니다.
현장 인근에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출입구 등이 있을 경우, 버스정류장 임시 이설 또는 역사 출입구 안전 조치, 우회도로 수립 계획 등을 검토합니다.

 

주변 보행자 통행과 차량 이동 상태 조사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2)

대상 건축물이 유동 인구가 많거나 도심 밀집 지역에 위치할 경우 우회도로 수립 검토, 그 외 신호수 배치 계획 등을 검토합니다.
인접도로, 보행로 방향으로의 낙하물, 전도 위험성을 검토합니다.

 

부지 내 공지 현황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3)

부지 내 공지 유무, 해체용 기계설비의 위치, 해체 잔재 임시보관 장소 등을 검토합니다.
건축물 외부의 장비 가동 범위 확보 여부를 살핍니다.
낙하, 전도에 의한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 이격거리 확보 여부를 검토합니다.
부지 내 공지가 없을 경우 해체 잔재를 즉시 반출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현장 주변 고압선 조사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4)

이 단계에서는 고압선과 해체장비의 간섭 여부, 방호조치의 필요성을 검토합니다.
필요시 이설, 보호, 철거 등의 계획을 수립합니다.

 

현장 주변 지하매설물 조사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5)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6)

이 단계에서는 해체 대상 건축물 주변의 전기, 상하수도, 가스, 난방배관, 각종 케이블 등의 지하매설물 현황을 검토합니다.
해체 장비의 작업 위치와 지하 매설물도 간의 비교를 통해서 별도의 지반보강이 필요한지 살핍니다.
또한 지하층 해체 작업시 굴착 깊이에 따른 간섭이나 피해 가능성을 검토합니다.

 




 

지하건축물 조사

 

지하건축물 현황조사

Ο 이 단계에서는 지하 건축물 해체로 인한 인접 건축물 및 지반 영향을 검토합니다.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7)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8)

지하 건축물 해체 단계별 인접 지반 및 건축물의 침하, 균열 등의 피해 영향을 검토합니다.
굴착 영향 반경의 적정 여부를 체크합니다.

 

Ο 지하 건축물 해체로 인한 현장 주변의 지하 건축물 영향을 검토합니다.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9)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10)

인접 구조물(지하철, 환기구, 하수터널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핍니다.
필요시 해체공사 단계별 별도의 안전대책을 수립합니다.

 




 

 

해체 대상 건축물 조사

 

Ο 해체 대상 건축물에 대해 현장 조사를 실시합니다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11)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12)

이 단계에서는 용도, 사용재료 및 강도, 설계도서와 현장시공의 일치 여부, 지반 특성, 구조형식, 파손 상태 등 대상 건축물의 구조적 상태를 살핍니다.
구조적 취약 부위에 대해서 조치 계획을 수립합니다.
구조안정성 검토시 콘크리트 강도, 부재 배치 등의 현장 조사 결과를 반영합니다.
주요 조사 결과에 대한 검토 의견의 적정성을 살피고 해체계획에 반영합니다.

Ο 해체 시 박리, 탈락의 우려가 있는 내,외장재, 장식물, 옥탑 구조물 등에 대해 현장 조사를 실시합니다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13)

외부 장식, 간판, 패널, 커튼월 유리, 석재 마감, 기계 설비, 광고탑 등 선행 해체가 필요한 구간에 대해서 해체, 조치 계획 수립을 검토합니다.
(해체 방법, 잔재물 반출계획 등)
비계 설치 간섭 구간에 대해서는 별도 해체 계획을 검토합니다.

 




 

 

유해물질 및 환경공해 조사

 

석면조사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14)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15)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16)

<산업안전보건법> 제119조에 따른 기관석면조사 대상인지 살핍니다.
(무석면 건축물인 경우 무석면 증빙 서류를 확인합니다.)
석면 해체가 완료된 경우 석면 해체(제거) 완료 보고서를 확인합니다.
석면 해체 일정의 적정성을 살핍니다. (타 공정과의 중첩 여부)

 

화학,위험 물질 조사

Ο 설비시설 등의 폐수, 독성 화학물질, 가연성 물질 ,폭발 위험 물질 등 조사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17)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18)

보일러 내 잔존 가스, 탱크 내 폐유 등의 포함 여부를 검토합니다.
관련 법령에 따른 정화 등의 해체, 조치 계획을 검토합니다.

 

환경공해 조사

 

Ο 소음, 진동, 비산먼지 등 인근지역 피해 여부 검토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19)

해체계획서 2사전조사-(20)

생활소음, 진동 규제기준 대상 지역인지를 살핍니다.
소음, 분진, 진동 등에 의한 피해 발생 가능성 및 방지 대책이 적정한지를 살핍니다.
주변 건물의 용도, 이격 거리 등을 고려한 피해 발생 가능성 및 방지 대책의 적정성을 검토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국토안전관리원 건축물관리지원센터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해체계획서 작성방법_1.일반사항”은 아래를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