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계과정에 대한 이야기

“건축설계과정에 대한 이야기”





 

건축이란

건축은 기능(function), 구조(structure), 미(aesthetics)를 모두 만족시켜야 하는 예술과 기술의 종합 학문입니다.
* Gesamtkunstwerk (게잠트 쿤스트 베르크) : 종합 예술 학문

건축은 우리의 모든 활동을 안전하게 보호해야 하는 건축 환경을 늘 새롭게 창출하고 개선해야 하는 책임이 있습니다. 건축은 우리의 삶을 지속적으로 개선(modify)하고 개량(improvement)해가는 과정입니다. 이로부터 창출된 것이 건축 문화, 건축 역사이기 때문에 건축은 늘 인류의 문화 흐름과 함께 해오고 있는 것입니다. 건축은 그 시대&사회의 인간의 생활을 담고 있기 때문에 건축이 시대&사회의 문화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각 시대&사회에 대한 건축 문화 평가를 통해 우리는 우리의 삶과 역사를 올바르게 보는 노력이 필요하겠습니다.

건축설계과정

 

건축 계획(architecture planning)과 건축 설계(architecture design)

건축 설계를 보다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건축 계획과 건축 설계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알고, 건축 설계(design)와 건축 계획(planning)관계를 조금 더 확실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축 계획과 건축 설계가 엄밀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지만 건축 분야에서는 아래와 같이 넓은 의미로 그 개념들을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1) 계획은 공간의 성질에 따라 필요한 양(크기와 개수)을 정하고 공간의 기능 동선 및 상호 관계(inter-functional relationship)를 해결해 주는 한편
설계는 계획에 의해서 결정된 공간(용도)의 성질과 규모, 그리고 상호 관계를 시각적인 어떤 형태로서 구성해 주는 일을 말합니다.

(2) 건물의 내부 생활 공간을 규정해 주는 것은 계획이고, 그 공간을 둘러싼 외부 형태는 설계입니다.

(3) 기능적이고 눈에 보이지 않는 많은 의도 및 공간 구성은 계획이고, 형태적인 공간구성은 설계입니다.

(4) 평면적이고 2차원적(two-dimensional)인 공간은 계획이며, 입면적이고 3차원적(three-di-mensional)인 공간은 설계입니다.

(5) 도시 공간이나 국토 공간 등 대상 프로젝트의 규모가 큰 것은 계획 요소가 많고, 시계, 라디오, 실(room) 등 대상 구성물의 규모가 작은 것은 설계 요소가 많습니다.

(6) 기획적이고 기본적인 목표와 방향은 계획이고, 부분적이고 세부적인 처리 수단은 설계입니다

(7) 평면 계획(plan) 자체는 계획이고, 입면 구성(elevation)은 설계입니다.

(8) 계획은 어느 정도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
설계는 어느 정도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9) 계획은 문제를 찾는 일이라고 한다면, 설계는 문제를 푸는 일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10) 설계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만들어 주는 일은 계획이고, 자료를 받아 형태를 구성하는 일은 설계입니다.

이렇듯 계획이 전제(premise)하에서 목표와 방향을 세우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신이나 개념이라고 한다면
설계는 그러한 정신과 개념을 제시 받은 후 어떤 구체적인 자료(information, data)를 가지고 목적에 알맞게 기술적으로 처리하는 수단입니다.

 

 

건축설계 방법론에 대한 이야기

건축은 과학과 기술과 공학의 관계에서 당연히 인간이 환경적 측면을 다루는 기술(technology)이고, 동시에 예술성이 강조되는 학문이며, 실용성이 강한 응용 과학 중에서도 실천 과학(practical science)에 속합니다. 즉 인간이 사용해 봄으로써 인정받고, 개발되고 또 이것을 응용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건축은 예술(arts)과 기술(technology)의 종합이고, 인문 과학과 사회 과학의 종합입니다. 건축은 대지와 건물의 종합이고 기능, 구조, 미를 종합하는 학문입니다.

① D.Thornley의 건축 설계 방법론 (1962)

제1단계 : 자료 수집
제2단계 : 건물과 인간과의 관계, 건물과 이용자, 사회 환경과 상업적 형태와의 관계 파악, 건물과 물리적 환경과의 관계, 경제성, 공간과 형태 조직, 구조, 적합한 형태, 일반 개념 등 기본 개념을 수립
제3단계 : 공간과 형태 조직의 상세한 고찰,
제4단계 : 최종안 도출

이것은 조사분석 단계(analysis)에 중점을 둠으로 문제 파악과 분석에 대해서 설계 단계보다도 더욱 체계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② C.Jones의 설계방법론 (1962)

C.Jones의 설계방법론은 실제 설계가들의 작업을 도울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이용가능한 방법이 개발 되어야 한다는 주장 아래
설계방법은 논리적 분석과 창조적 사고 사이에 존재하는 갈등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보며, 이는 직감이나 상상력을 논리적 사고와 분리시키는 데에 그 의미를 두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정보 자료를 체계화시키는 방법으로 상호 작용망(interaction net)과 위상 수학적 다이어그램의 이용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A.Osborne이 개발한 brainstorming과 같은 각종 종합 기법을 제안하고 통계적 평가 방법을 주장하였습니다.
한편 1963년 C.Jones의 체계적 설계방법(systematic design method)의 목적은 설계에 있어서 논리적인 사고방식 자체가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는 장치로서 그 역할을 하는데 있으며 그 건축설계의 진행과정은 분석 – 종합 – 평가라는 3단계 이론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이론의 설계 과정은 대체적으로 훌륭한 의사 결정론(decision making theory)의 일환으로 대부분의 설계전문가들에게 애용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③ B.Archer의 설계방법론

B.Archer의 설계 문제 접근 방법은 정책의 공식화를 제 1단계로 준비연구, 스케치설계, 상세설계, 원형설계, 시장평가, 실시설계, 생산계획, 상품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생산과 판매등 10단계의 망으로 구성됩니다. 이 방법의 특징은 프로세스는 다른 설계의 진행 과정과 일치하는 점이 있지만 문제를 분석하고 또 해를 평가하는 일이 정량적인 접근 방법으로 가능하게 한 것이며, 목적은 프로젝트의 목적을 달성하는 가장 합리적이고 최적의 범위를 확보하게 하는 데 있습니다.

 

④ G.Broadbent의 환경설계방법론

G.Broadbent의 환경설계의 진행 방법은 건축과 대지와 조경 등의 3가지 측면에서 환경에 접근하는데 이 방법은 환경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필요한 공간, 환경, 통신 등의 여러 활동들을 건물의 물리적인 요소들과 상관시켜 얻어 낸 결과들을 설계에 응용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대지의 조건과 환경 요소들이 건축의 세부 설계에까지도 상호 관련을 가지고 실행을 위한 더 많은 정보와 자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조경이나 세부적인 구조 설계에 관한 사항들이 오히려 다른 부분의 설계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종합 분석 과정의 목표가 되기도 하기 떄문에 목적은 어디까지나 건축설계를 위한 방법으로 집약해야 합니다.




 

건축설계과정 5단계

 

① 착수 단계 (initiation phase)

착수 단계에서는 건축주(client)와 건축가(designer) 간에 프로잭트의 목표, 방향을 달성하기 위한 의사결정단계로,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건축주는 프로젝트의 목표를 수립하기 위해서 사회적, 환경적, 입지적 여러 가지 기획의 배경 조건들에 관한 정보와 지식을 입수한 이후 그것들을 바탕으로 “어떤 건물을“, ”무엇 때문에 혹은 왜“, ”어디에“, “얼마를 투자해서”, ”언제까지“, ”어떻게“ 완성하겠다는 건축 목적, 의도, 동기, 철학, 이념 등을 수립해야 합니다.

② 준비 단계 (preparation phase)

건축가는 건축주로부터 받은 프로젝트의 목표와 방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건축 계획을 수립하고 건축 설계를 진행하기 위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조사&분석단계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건축가는 이 단계에서 의뢰받은 프로젝트를 사회적, 환경적, 법률적, 기술적으로 프로젝트의 전반에 관련된 문제점들을 조사하고 분석해야 합니다. 그리고 분석된 결과를 건축주와 잘 상의하여 다음 단계(기본 계획)에 충실히 반영시켜야 합니다. 건축가는 프로젝트의 성격과 규모, 그리고 대지조건, 환경조건 등 여러가지 상황의 관련된 정보 자료의 필요한 범위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줄 알아야 합니다.

 

③ 계획안 제안 단계 (proposal making phase)

건축가가 건축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능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프로젝트의 목표와 방향을 충족하는 계획안을 만들어 내는 단계입니다.
이는 기본계획 혹은 기본설계단계(Master Plan/Master Design)로 볼 수 있습니다. 건축가는 이 “계획안 제안 단계” 전에 설계 조건(design provision)을 제시함으로써 건축주로부터 계획 기준(planning criteria)과 설계 기준(design criteria)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이러한 “설계 조건 설정 단계”는 “계획안 제안 단계” 전에 수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프로젝트에 관련된 일체의 정보 자료의 분석결과가 나오면 그 결과를 건축가가 계획을 수립하고 실시 설계에 들어가기 전에 실시 설계의 기본틀(frame work)과 지침(guidline)이 되는 기본계획/설계(master plan/design) 단계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작품의 기본 골격이 이때 수립됩니다. 또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정확히 찾아내는 일(problem seeking)과, 그 문제들을 놓고 건축주와 건축가 간에 원만한 해결을 유도해내야 하는 협의 조정과정이나 기획설계과정(design  programming)등 중요하고 복잡한 과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건축계획/설계단계에서는 건축기본설계, 대지기본설계, 투자계획 그리고 공정계획 등 일체의 실시설계를 위한 기본사항들이 완벽하게 수행되어야 합니다. 건축기본계획에서는 소요공간계획, 공간규모계획, 기능동선계획, 형태구성계획, 건축구조계획, 재료이용계획, 내부환경계획, 실내설비계획 등이 수립됩니다. 대지기본계획에서는 조닝계획, 토지이용계획, 교통동선계획, 건축배치계획, 토지계획, 조경 계획, 외부환경계획, 옥외설비계획 등이 수립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공정계획과 투자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기본 계획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④ 설계안 평가 단계 (evaluation phase)

건축가로부터 하나의 설계안이 만들어진 이후 창작물에 대한 평가 단계를 의미합니다. 이때 이용자 평가(user evaluation)는 개발 계획(development plan)과 건설(construction)의 평가에서 별도로 수행되며 프로젝트의 목표와 방향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면 다시 재검토하여 수정 보완하게 되고 수정된 설계안이 기대치에 가까워지면 최종안을 결정지어 집행 단계에 들어가게 됩니다.

⑤ 설계 집행단계 (action phase)

최종 설계안을 가지고 시공이나 건설을 위한 상세도 작성 및 견적도와 시방서를 작성하는 단계이며 설계 과정만으로 볼 때 실시설계단계(action design phase)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시설계 단계는 기본계획의 지침을 받아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상세설계를 수립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여기서는 건축설계, 구조설계, 설비설계, 조경토목설계, 시방서, 내역서 등 일체의 전문적인 도서 작업이 수행됩니다. 실시설계 단계에서는 설계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그 선행 단계로서 모형과 시뮬레이션을 선행하는 게 좋습니다.

 

** 설계 이후 단계

: 시공 단계(building construction phase)

완성된 실시설계 도서에 의해서 건설업자가 건축물을 만들어내는 단계입니다. 여기에서는 준공에 이르기까지 공사 감리와 현장 설계 과정이 병행되어야 하며, 건축가의 창작의도가 잘 반영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의 설계를 수행해낸 건축가가 설계의도 구현 업무 및 감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젝트의 전체 과정이 완성되고 건물이 준공되면 실제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자 평가(user evaluation)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는 다른 건축 계획을 위한 더 좋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건축설계과정 맺음말

건축설계과정은 사용자 요구사항 충족, 디자인의 창조와 혁신 이외에도 지속 가능성 고려, 안전 및 보안, 문화적 사회적 요소 고려 등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들을 공통적으로 다뤄야 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건축 프로젝트의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서도 건축가, 건축주 모두가 전반적인 건축설계과정을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건축사가 설계해야 하는 건축물 (건축법 제23조 관련)